가속화되는 고령화와 웰-리빙 및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요청을 인식하고 LSP의 정서적·심리적 효과에 주목하면서, LSP라는 창의적이고 인문학적인 치유 프로그램을 한국 고령층에 알맞게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을 인공지능과 결합하여 LSP 활용의 저변을 넓혀 고령층의 삶의 질을 개선할 필요에 대한 공유로부터 시작된 본 연구의 목표는, 고령층의 웰-리빙(well-living)과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Life Story Program(LSP)의 효과를 피실험자의 생체신호를 통해서 분석할 수 있는 검증 방법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 검증을 바탕으로 AI-LSP 개발을 위한 이상적인 LSP를 구축한 다음, 딥러닝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기획 및 수립해서 대규모언어모델(LLM) 활용 AI-LSP 개발 착수를 위한 상용 인공지능 활용 모의 AI-LSP를 실제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여 AI-LSP의 유효성을 증명하고 LLM을 활용한 AI-LSP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상의 융복합연구의 목표를 세분해서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AI-LSP 알고리즘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 항목을 정리하고 새로운 LSP 모델 개발을 시행하기 위해서 일반 및 신경인지장애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LSP 모델들을 문학·철학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2) 분석을 토대로 구성한 AI-LSP 알고리즘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 항목에 맞춰 새로운 LSP 모델을 개발한다.
3)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LSP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서 정서 변화 측정 실험을 LSP 전후로 시행하고 관련 프로토콜을 구축한 다음 생체신호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4) 문학·철학심리학적 상담과 동시에 진행될 새롭게 개발된 LSP의 일반 고령층 대상 임상을 통해서 LSP의 유효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AI-LSP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대중화의 가능성을 진단한다.
5) AI-LSP 개발에 착수하기 전에 모의실험을 진행하기 위해서 상용 인공지능을 활용해서 모의 AIꠓLSP를 개발하고 일반 및 신경인지장애 고령층을 대상으로 임상을 실행하고, AI-LSP의 유효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실제 AI-LSP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대중화의 가능성을 진단한다.
6) 모든 결과를 통합하여 실제 AI-LSP 개발을 위한 설계도를 마련하고, 이 설계도를 현실화시킬 수 있는 자본을 구축하면서 연구를 지속·확장시킬 수 있도록 2028년도 글로벌 인문·사회융합연구지원사업 신청을 준비한다.
• 학문적 기여
AI-LSP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및 구축은 인문사회와 이공계의 융합 연구의 가능성과 효용성을 보여준다.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 가능성과 효용성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빅 데이터는 향후 인문사회 및 이공계 연구자들의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LSP 효과 측정의 연구 결과는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의 원인과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간호 및 복지 분야에서 환자의 정서적 측면을 다루는 데 중요한 지표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전문적인 LSP를 새롭게 구축함으로써 LSP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LSP 연구자를 양산할 수 있다.
• 사회적 기여
AI-LSP의 구현은 의료·상담기관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사회 노인에 대한 정서 및 삶의 질 관리와 자립생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I-LSP는 고령자들의 웰-리빙과 웰-다잉을 위해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빅데이터 기반 클라우드 활용을 통해 고령자의 심리적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LSP 효과 측정을 통해 정서적 변화를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환자들의 삶의 만족도와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노인 또는 환자들을 돌보는 가족 및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간병인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환자들에게 더 나은 돌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LSP 효과 입증을 통해 사회적으로 노인 또는 환자들과 관련된 이슈에 대한 정서적 이해와 연대를 촉진할 수 있다.
• 1차년도 (2024.06.~2025.05.)
LSP 임상 실험을 위한 토대 마련 및 일반 고령층 대상 임상 실시
• 2차년도 (2025.06.~2026.05.)
모의 AI-LSP 개발과 일반 고령층 및 고령의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환자군의 AI-LSP 임상 실시
• 3차년도 (2026.06.~2027.05.)
임상 기반으로 AI-LSP 개발 계획 수립
문학상담가 1명, 철학상담가 1명, LSP 전문가 1명,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연구자 1명, ResNet 모델과 생체신호 개발자 1명, 인공지능학자 1명
총 6명의 연구자는 온·오프라인 세미나 개최와 6인의 공동연구자들이 조직한 6개 팀들의 교류 활동을 수행하면서 연구를 진행한다.